오늘은 목차 태그인 <li>, <ol>, <ul>에 대해 배웠다.
목차 태그는 Ordered List (=<ol>) / Unordered List(=<ul>)로 나뉜다
- <li> : List의 "li"를 따온 목차 또는 목록을 나타내는 태그
- <ul> : li만 사용하면 서로 구분이 안되기 때문에, 띄어쓰기를 위해 사용하는 목차 태그, <li>의 부모 태그 (마찬가지로 <ol>도 <li와 함께 사용)
<ul>
<li>1. HTML</li>
<li>2. CSS</li>
<li>3. JavaScript</li>
</ul>
<li>태그만 여러번 사용할 경우에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연관된 항목인지를 구분하지 못하여 혼동할 수 있다.
이를 방지하기 위해 부모 태그인 <ol> or <ul>이 필요하다.
즉, <li>는 부모 태그를 가지고 <ol>, <ul>은 자식태그를 가진다.
여기서 부모 태그와 자식 태그란 태그의 포함관계를 나타낸다. 포함하고 있는 태그를 부모 태그라 하고, 포함된 태그를 자식 태그라 한다.
- <ol> : 순서를 명령해주는 목차 태그
<ol>
<li>HTML</li>
<li>CSS</li>
<li>JavaScript</li>
</ol>
<ol>을 사용하면 목차의 내용이 수정 됐을 경우, 순서를 수정할 필요가 없다.
<ol>
<li>CSS</li>
<li>JavaScript</li>
</ol>
1번 HTML을 지웠는데 CSS와 JavaScript의 목차 순서를 변경하지 않았다. 만약, <ul>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목차 수정이 필요 했다.
참고 : 표 만들기 연습
<table border="1">
<tr>
<td>head</td>
<td>98.1%</td>
</tr>
<tr>
<td>body</td>
<td>97.9%</td>
</tr>
<tr>
<td>html</td>
<td>97.9%</td>
</tr>
</table>
- <table border ="표 테두리 두께">
- <tr> : 표 내용 입력
- <td> : 다음 칸에 입력
다음에 표를 다루는 부분을 공부하면 더 자세히 다뤄야지
'소프트웨어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CSS] <style> 글씨 색깔 변경, 링크 밑줄 제거 (0) | 2023.01.24 |
---|---|
[HTML] 웹사이트 동영상, 댓글, 채팅, 방문자 분석기 기능 추가 (0) | 2023.01.23 |
[HTML] 링크 연결 <a> (0) | 2023.01.23 |
[HTML] <br>, <p>, <img> (0) | 2023.01.22 |
[HTML] HTML 기초 (0) | 2023.01.21 |